Pharmaceutical expenditure
/ Drug expense
약품비 / 약제비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re announcing drug costs. Also, all universities and hospitals are publishing research and related policies based on statistics on drug costs.
Articles 5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Article 24 (obligations and compliance matters), and Article 79 (revocation of licenses for pharmacists and herbalists, etc.)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use ' the drug expenses' as terms. The drug expenses is a legal term. Economics glossary also defines drug expenses.
The drug expenses: The cost of pure insurance drugs that do not include fees such as dispensing fees (money provided to medical service providers such as doctors or pharmacists) (National Health Insurance financial reimbursement amount + patient copayment)
The legal and economic terms are using drug expenses. Still, it is a research fraud that the government and affiliates, l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create and announce pharmaceutical expenses to the public. It corresponds to Falsification, the first item among research frauds regulated by UNESCO. Ignorance or deliberately can reasonably conjecture that research fraud is the main culprit.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약품비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모든 대학과 병원에서도 약품비 통계를 바탕으로 연구와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약사법 제5조(결격 사유), 제24조(의무 및 준수 사항), 제79조(약사·한약사 면허의 취소 등)에는 '약제비'를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약제비가 법률용어이다. 또한 경제학 용어 사전에도 약제비를 정의하고 있다.
약제비: 조제료 등 수가(의사나 약사 등의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돈)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보험약품의 비용(국민건강보험 재정상환액+환자 본인 부담금)
법률, 경제 용어는 약제비를 사용 중인데 굳이 서울대학교를 필두로 정부와 산하기관이 국민에게 약품비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발표하는 것은 연구 사기이다. 유네스코가 규정한 연구사기 중 첫번째 항목인 Falsification 에 해당한다. 무지해서 혹은 고의로 연구사기의 주범이라는 합리적 추측을 할 수 있다.